1. 자유의 여신상의 역사
자유의 여신상은 미국 뉴욕항으로 들어오는 허드슨강 입구의 리버티섬에 세워진 조각상으로, 프랑스가 1886년에 미국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선물한 것이다. 횃불을 치켜든 거대한 여신상으로 정식 명칭은 세계를 비추는 자유이지만 통상 자유의 여신상으로 알려져 있다. 1875년에 만들기 시작하여 1884년에 완성되었고, 잠시 프랑스 파리에 서 있다가 1885년 배를 통해 미국으로 이송되어 1886년에 현재의 위치에 세워졌다.
여신상은 겉으로 보기에는 조각이지만 내부에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의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작가 프레데리크-오귀스트 바르톨디가 자신의 어머니를 모델로 조각했다고 하며, 에펠 탑의 설계자이기도 한 구스타브 에펠이 내부 철골구조물에 대한 설계를 맡았다. 구스타브 에펠은 미국으로 옮기기 위해 자유의 여신상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역할도 맡았다. 여신상의 받침대는 건축가 리처드 헌트가 디자인한 것이다.
동으로 만든 여신상의 무게는 225t, 횃불까지의 높이는 약 46m, 받침대 높이는 약 47.5m이다. 지면에서 횃불까지 높이는 93.5m에 이르고, 집게손가락 하나가 2.44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다. 받침대 위에 선 여신은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옷을 입고 머리에는 7개 대륙을 상징하는 뿔이 달린 왕관을 쓰고 있다. 오른손에는 ‘세계를 비추는 자유의 빛’을 상징하는 횃불을, 왼손에는 ‘1776년 7월 4일’이라는 날짜가 새겨진 독립선언서를 들고 있다. 여신상의 왕관 부분에는 뉴욕을 내려다보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박물관과 선물가게도 있다. 자유의 여신상은 '아메리칸드림'을 안고 뉴욕 항구로 들어오는 이민자들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으로, 이민자들과 이민자의 나라 미국에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미국의 독립을 기념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 기회 등을 의미하기도 하다.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 자유의 여신상의 특징
자유의 여신상은 조립식 구조물이며, 프랑스가 미국에 이 조각상을 선물하기 전에 완성품 상태로 조립을 했었다. 그러나, 배에 선적하기 위해 해체할 수밖에 없었고, 미국으로 보내진 다음 미국에서 다시 조립하여 완성되었다. 프랑스에는 자유의 여신상을 그대로 축소해 놓은 조각상이 있다. 오른손에는 횃불을 왼손에는 독립선언서를 들고 있다. 구리로 제작되었다. 맨 처음은 구리의 붉은빛을 띠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구리가 공기 중에서 산화하는 특성으로 인해 지금의 푸른빛을 띠게 되었다. 1985년 수리과정에서 횃불은 금으로 도금하였다. 미국과 뉴욕의 대표적 상징물로써 각종 영화나 문학 작품에서 많이 언급되곤 한다.
1916년 7월 30일 독일의 사보타주에 의한 블랙톰섬 폭발사건 당시 팔과 횃불에 심각한 구조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횃불로 가는 길은 수리되었으나 폐쇄되었고 1984~1986년에 있었던 복원공사의 이후에도 개방되지 않고 있다.
2001년 9.11 테러 직후 테러 목표물이 될 것을 우려하여 전망대 및 기단부의 박물관이 폐쇄되면서 관광이 중단되었다가, 2004년 8월 보안검색대 설치 등 안전조치를 강화한 뒤 기단 부분 일부만 개방하였다. 왕관 부분 전망대의 경우 나선형 계단이 비좁아 화재 및 테러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이유로 개방하지 않아 한동안 입장이 불가능하였으나 2009년 7월부터 제한적으로 관광객을 받는 조건으로 다시 개방했다.
리베르타스 여신을 묘사한 작품이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존의 리베르타스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이다. 자유의 여신상 이전의 리베르타스는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었음을 상징하는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장대를 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바르톨디가 제작한 자유의 여신상은 프리기아 모자 대신 7개의 뿔로 된 왕관을 쓰고, 장대 대신 횃불과 책을 들고 있다. 7개의 뿔로 된 왕관은 미국이 이룬 자유와 평등이 7개 대륙으로 햇빛처럼 퍼지는 것을 나타냈다. 왼손에 든 책에는 'JULY IV MDCCLXXVI'가 적혀 있는데 이는 로마 숫자로 1776년 7월 4일, 즉 미국 독립기념일이기 때문에 미국 독립선언서를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 오른손에 든 횃불은 세계만방에 이성의 빛을 밝히는 것을 상징한다. 이외에도 자유의 여신상은 끊어진 쇠사슬을 밟고 서 있는데, '노예 상태에서의 해방'을 묘사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를 상징하는 프리기아 모자를 씌우지 않는 대신 바르톨디가 선택한 방법이다.
3. 자유의 여신상 관광하기
세상에서 가장 과대평가된 명소라는 이야기도 돌 정도로, 실제로 가면 그다지 볼 건 없다. 차라리 맨해튼 남쪽에서 관찰하는 게 더 멋있다. 막상 1시간가량 줄 서고 배 기다리고 배 타고 해서 자유의 여신상이 있는 섬에 가면 등잔 밑이 어둡다고 제대로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다. 3시간가량 도보로 여신상 속을 통해 올라가는 게 가능하지만 막상 올라가면 허무하다.
전망대에 올라갈 생각이 없다면, 공짜로 탈 수 있는 스태튼 아일랜드 페리를 타고 멀리서 여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Crown까지 올라가는 데만 28달러인데 3개월 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매진된다. 하지만 여신상 발밑에서 본다면 25달러로, 별도의 예약 없이 들어갈 수 있다. 발밑까지는 엘리베이터가 있어서 올라가는 데 큰 불편은 없지만 발밑부터 Crown까지 올라갈 때에는 꽈배기처럼 생긴 계단을 한없이 걸어 올라가기 때문에 무척 힘들다. 그리고 올라갈 때에는 보안검색대에서 검색을 받게 되는데 생수 외의 모든 음료수 및 음식물은 전부 압수하기 때문에 혹시라도 음식물을 갖고 있다면 보안검색대 옆에 있는 물품 보관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비싼 돈을 받고 보관한다는 점이니 보관료를 쓰기 싫다면 음식물을 억지로라도 먹던가, 그냥 버리는 편이 낫다.
'인간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의 의미와 역사에 대해서 우리가 몰랐던 정보 (0) | 2024.03.15 |
---|---|
페루 마추 픽추의 역사 및 세계 7대 불가사의 (0) | 2023.09.24 |
고대 이집트의 미술과 건축 - 스핑크스 역사와 수수께끼 및 비밀의방 (0) | 2023.08.07 |
이집트 피라미드의 역사 구조 (0) | 2023.08.03 |
프랑스 파리 에펠탑 역사 효과 특징 예약방법 알아보기 (0) | 2023.07.25 |